여름이 다가오면 사무실에서 자주 겪는 불편함 중 하나가 바로 '냄새' 문제입니다. 밀폐된 환경과 높은 습도, 잦은 에어컨 사용 등 여러 요소가 어우러지면서 사무실 내 악취가 쉽게 발생하곤 하죠. 이번 콘텐츠에서는 여름철 사무실에서 냄새가 심해지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여름철, 왜 사무실 냄새가 유독 심해질까?
(1) 밀폐된 공간과 환기 문제
여름엔 에어컨 효율을 높이려고 창문을 닫고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에어컨은 단순히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뿐 신선한 공기를 들이지 않습니다. 같은 공기가 계속 돌다 보면 냄새가 농축돼 심한 악취로 이어지게 됩니다. 특히 오픈형 사무실에서 에어컨 바람이 닿지 않는 코너나 파티션 뒤쪽은 환기 사각지대가 생겨 냄새가 더욱 심해집니다.
(2) 체취·습기·음식물 냄새의 혼합
여름철이다보니 땀을 흘리는 사람들도 있고, 높은 온도로 그들에게서 나는 체취와 음식물 냄새의 확산도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문제는 한 가지 냄새가 아니라 여러 냄새가 동시에 섞일 때입니다. 여름 사무실엔 사람들의 땀과 체취, 에어컨 습기, 음식물 냄새, 커피 향 등이 뒤섞여 복합적인 악취를 만들어냅니다.
위에서 살펴본 여름철 냄새가 유독 심한 이유 중 냄새 발생의 원인들을 하나씩 분석해 봅시다.
_looking_concerned_or_frustrated.webp%3Ftable%3Dblock%26id%3D21fa222a-9c1b-8016-be70-ef5e97503169%26cache%3Dv2&w=1920&q=75)
2. 체크 할 사무실 냄새의 5가지 원인과 관리 방법
(1) 에어컨 곰팡이 냄새
에어컨 내부 습도가 70% 이상일 경우 곰팡이가 쉽게 번식합니다. 특히, 필터에 쌓인 먼지는 곰팡이의 영양분이 됩니다. 월 1회 필터 분리 후 세척하는 것을 권장 드리며, 연 1회는 전문 업체 통한 내부 코일 고압 세척 및 향균 처리를 해야합니다. 일상에서도 송풍모드로 10분간 습기 제거를 하여 곰팡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사람 체취와 땀 냄새
여름철 출퇴근길의 땀 냄새는 밀집된 사무실 공간, 특히 회의실이나 전화부스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더욱 도드라지게 됩니다. 협소한 공간의 경우 사용 전후 10분은 환기를 실시하며, 천장형 서큘레이터 설치로 공기 정체를 방지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3) 음식물 냄새
재택 근무 이후 사무실 내 식사 빈도가 높아졌습니다. 특히, 회의실을 식사 공간처럼 이용하는 것은 이후 사용자에게 음식물 냄새로 불쾌감을 줍니다. 탕비실에서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공간을 지정하고, 음식물쓰레기통을 밀폐형으로 바꿔 하루 1회는 비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시간 이후엔 30분 이상 식사 공간을 환기 시켜줘야 합니다.
공간별로 적용 가능한 냄새 관리 방법
👉 회의실
회의 전후로 5~10분씩 환기를 하도록 유도하세요. 문 앞에 환기 안내 스티커를 부착하고, 회의실에서 식사하는 것을 못하게 하거나 특정 회의실로 한정해야합니다.
👉 탕비실과 냉장고:
여름철에는 매일 음식물 쓰레기를 비우고 주 1회 냉장고 정리, 월 1회는 냉장고를 전체 청소해야 합니다. 냉장고 내부에는 베이킹소다 같은 탈취제를 비치하고, 오래된 음식물은 빠르게 폐기하도록 공지합니다.
👉 화장실:
자동 탈취기 외에도 배수구에 정기적으로 물을 부어 트랩을 유지하고, 타일 사이 곰팡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하며, 환기팬 상태도 점검해야 합니다.
👉 전화부스/포커스룸:
사용 후 문을 열어놓고 주기적으로 환기 시간을 확보하는 등 별도의 점검 리스트를 관리하는 게 좋습니다.
3. 주도적인 ‘냄새 관리 문화’ 만들기
(1) 구역별 가이드 설정 및 관리 시스템 구축
냄새가 잘 발생하는 민감 구역을 인지하고, 각 구역에 대한 가이드를 안내하세요. "음식물 섭취 후 환기하기", "회의실 사용 후 창문 열기" 같은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포스터로 제작해 붙여 두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월간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에어컨 필터, 냉장고 청소, 배수구 점검 등 주요 관리 항목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면 누락없이 관리가 가능합니다.
사내 캠페인 : 총무팀을 위한 실행가이드 A to Z ←- Click
(2) 민원 대응 체계 구축
냄새 관련 민원 채널을 명확히 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슬랙 채널이나 구글폼 같은 도구를 활용하세요. 민원 응대 매뉴얼을 준비하고 피드백 과정을 정리해두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총무 담당자가 부재할 때도 관리가 중단되지 않도록 체크리스트와 매뉴얼을 만들어 관련 담당자에게 공유하세요. 관리 방법, 관련 업체 연락처 등을 문서화하면 관리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사무실 냄새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직원들의 업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무실 냄새 문제는 누구 하나의 단편적인 노력으로 해결되는 일이 아닙니다. 직원 모두의 꾸준한 관심과 실천이 뒷받침되어야 비로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죠. 하지만 냄새 관리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이를 업무 프로세스로 정착시키면, 충분히 개선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냄새 문제를 개인의 책임이나 관리 부족으로 돌리지 않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해결 중심의 사고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리자가 해야 할 일은 냄새 발생을 미리 예방하고,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관리 체계를 만드는 것입니다.
쾌적한 사무실 환경은 직원의 업무 효율과 만족도를 높이는 필수 요소입니다. 위 내용들을 실천해 보시고, 여러분의 사무실이 보다 상쾌하고 편안한 공간으로 거듭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일 잘하는 총무들의 3가지 공통점이 궁금하시다면!? ←- Click!
Share article
총무/경영지원 업무와 관련된 콘텐츠를 발간되자마자 받아보세요!